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약물 및 질환 탐구17

우리집 영양제 털이 30대 영양제 추천 2편 우리 집 영양제 털이 30대 영양제 추천 2편 지난 편에 이어 우리 집 영양제 털이 2편 시작하겠습니다. 4) 오메가 3: 저희가 오메가 3을 먹고 있는 이유는 바로 현재의 식습관상 오메가 3이 오메가 6에 비해 부족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메가 3와 오메가 6가 체내에서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평소에 우리가 먹는 음식들에는 오메가 6가 더 많이 들어 있다는 것이죠. (튀긴 음식... 등) 오메가 3이 하는 역할은 매우 다양한데요. 일단 많이들 알고 계시는 중성지방의 감소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연구도 많이 되어 있는 상태고, 처방약으로 나오기도 합니다. 그리고 오메가 3이 보통 EPA와 DHA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공급해주면 세포막의 유동성이 좋아집니다. 세포막의 유동성이 안 좋으.. 2021. 5. 13.
우리 집 영양제 털이 영양제 뭘 먹어야 하나 1편 우리 집 영양제 털이 영양제 뭘 먹어야 하나 1편 요즘은 많아도 너무 많은 영양제~ 시중에 나와 있는걸 모두 먹을 수는 없으니 그중에 선별해서 먹도록 해야 하는데요. TV나 SNS에서 접하는 광고들을 보면 전부 다 챙겨 먹어야 할 거 같은 생각이 들게 됩니다. 넘쳐나는 정보들 속에서 객관적, 합리적인 판단하에 어떤 걸 먹을지 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정 질환을 진단받은 분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만성피로, 근육통, 면역력 향상, 감기 예방 등 때문에 영양제를 복용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는데요. 저희도 그런 경우에 해당됩니다. 아래에서 저희가 먹는 영양제를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할게요. 1) 비타민 B군 고함량: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비타민 B군 고함량은 너무너무 많은데요. 특정 복용 .. 2021. 5. 12.
간기능 검사 수치 의미 알아보기 간 기능 검사 수치 의미 알아보기 미국 소화기 학회에서는 간 기능 검사 시 세 가지를 먼저 고려합니다. 1) AST, ALT 상승 2) 빌리루빈 상승 3) Alkaline phosphatase 상승 AST(GOT)와 ALT(GPT)의 정상수치는 0-40IU/L이며 감마 GT (GGT)는 남성 11-63IU/L, 여성 8-35IU/L 가 정상입니다. ALP는 20-130IU/L, 빌리루빈은 총 빌리루빈 0.2-1.2mg/dl, 직접 빌리루빈: 0.4mg/dL이하, 간접 빌리루빈: 0.6mg/dL 이하가 정상수치입니다. 간 건강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증상의 여부를 체크해봐야 합니다. 3가지 이상 가지고 있으면 간 기능 이상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1) 아침에 기상하기 힘들고, .. 2021. 5. 11.
B형 간염 바이러스 이해 2편 B형 간염 바이러스 이해 2편 지난 편에 이어 HBV의 혈청학적 진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BsAg: 4주경부터 혈청 내에서 발견되며 12주에 농도가 최대로 올라가게 됩니다.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보균 여부를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HBsAg가 양성이라는 것은 B형 간염 보균자라는 뜻입니다. 음성이면 B형 간염 예방접종을 맞은 적인 없고 현재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다는 뜻으로 예방접종을 맞을 수 있습니다. HBsAg는 보통 6개월 지나면 없어지는데 없어지지 않으면 만성 간염 상태가 됩니다. HBsAg에 대한 항체는 6개월부터 검출되어 평생 지속되지만 5-10% 정도의 일부 환자들은 간염 치료를 받은 후에도 항체가 생기지 않습니다. Anti-HBsAg가 양성으로 나오면 예방접종을 받.. 2021. 5. 10.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이해 1편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이해 B형 간염 바이러스는 DNA 바이러스이지만 RNA 바이러스처럼 역전사에 의해 복제가 됩니다.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된 성인의 90%는 스스로 회복되어 항체를 만들어 냅니다. 그러나 10%는 바이러스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여 만성 간염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B형 간염은 주로 혈액으로 감염되며 17%가 간경변, 5%가 간암으로 진행됩니다. B형 간염은 완치의 개념보다는 평생 관리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Hepatitis B e antigen: B형 간염의 항원 중 전염성이 매우 높습니다. 양성으로 확인될 시 HBV DNA의 복제 활동이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표면 항원이라고도 하며 급성 감염 시 가장 .. 2021. 5. 10.
간 영양제 살펴보기 간 영양제 살펴보기 지방간에 도움이 되는 영양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베타인: 비알콜성 지방간의 경우 체내 호모시스테인이 증가하게 되는데 베타인을 섭취하면 호모시스테인을 감소시키는 걸 도와줍니다. 베타인을 공급해주면 VLDL 분비가 증가해 간의 중성지방을 낮춰주게 됩니다. 2) 분지아미노산: 루신, 이소루신, 발린 등의 분지 아미노산은 간질환이 생기면 감소되는 아미노산입니다. 이럴 때 분지아미노산을 공급해주면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하여 지방간염으로의 진행을 막아주게 됩니다. 지방간의 중성지방을 낮추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3) 오메가 3: 베타 산화를 촉진하여 지방의 분해를 촉진합니다. 4) 카르니틴: 카르니틴은 Acyl 기를 미토콘드리아 내로 운반시켜 주는 작용을 합니다. 이를 통해 지방을 에너지로.. 2021. 5.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