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기능 검사 수치 의미 알아보기
미국 소화기 학회에서는 간 기능 검사 시 세 가지를 먼저 고려합니다.
1) AST, ALT 상승
2) 빌리루빈 상승
3) Alkaline phosphatase 상승
AST(GOT)와 ALT(GPT)의 정상수치는 0-40IU/L이며
감마 GT (GGT)는 남성 11-63IU/L, 여성 8-35IU/L 가 정상입니다. ALP는 20-130IU/L, 빌리루빈은 총 빌리루빈 0.2-1.2mg/dl, 직접 빌리루빈: 0.4mg/dL이하, 간접 빌리루빈: 0.6mg/dL 이하가 정상수치입니다.
간 건강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증상의 여부를 체크해봐야 합니다.
3가지 이상 가지고 있으면 간 기능 이상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1) 아침에 기상하기 힘들고, 극심한 피로감과 권태감을 지니고 있다.
2) 갑자기 술 해독 능력이 약해진다. (술 깨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3) 우측 상복부에 통증이나 불쾌감, 답답함이 있다.
4) 남성의 경우 성기능 장애나 여성형 유방, 여성의 경우 생리 불순이 나타난다.
5) 배에 복수가 차고 붓는다. 가스가 차거나 방귀가 자주 나온다.
6) 몸에 경련이 일어난다.
7) 피부가 가렵다.
8) 소변이 진한 갈색을 띠고 대변이 흰색이다. (빌리루빈이 소변으로 나가면 갈색)
9) 손톱이 하얗고 세로 줄무늬가 생겼다.
10) 가슴, 팔, 손바닥 등에 붉은 반점이 생겼다.
AST와 ALT는 아미노산 전이효소라고 보시면 되는데, 일단 체내 아미노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미노산은 아미노기와 카르복실 그룹을 지니고 있는데 아미노 그룹은 아미노산 탈 아미노 반응, Transaminase에 의한 아미노기 전이 반응에 의해 제거가 되며 카르복실 그룹은 탈탄산 반응에 의해 제거가 됩니다.
ALT는 알라닌과 관련이 있고 AST는 아스 팔 테이트와 관련된 효소입니다.
ALT는 대부분 간세포 내 존재하므로 AST보다 ALT가 간질환에 대한 특이도가 높습니다.
그러나 간의 Zone 3에는 AST의 농도가 ALT보다 더 높으므로 독성이나 허혈성 간염으로 인해 이 부위가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AST 상승이 더 높게 나타납니다.
아미노기 전이효소의 상승은 크게 간질환이 있을 때와 간질환이 없을 때로 나눌 수 있는데요.
간질환이 있을 때, 예를 들어 B형 간염, C형 간염, 과음, 약물(항생제, STATIN 계열, 항경련제, 항결핵제 등), 지방간, 간염
간질환이 없을 때, 예를 들어 횡문근 이상, 울혈성 심부전, 과다 운동,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이 있습니다.
AST가 단독으로 지속적 상승을 보일 때는 근육 손상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알콜성 간질환의 경우 아미노기 전이효소는 300U/L를 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AST:ALT의 비가 2 이상으로 나타나곤 합니다. 비알콜성 간질환에서는 AST/ALT 비가 보통 1 이하로 나타납니다.
ALP는 Alkaline phosphatase는 뼈와 간에 이상이 있을 때 상승이 나타납니다. ALP와 GGT가 동시에 상승하는 경우 간경과, 담도 폐색 등 간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고 ALP만 단독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뼈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담즙 정체가 있을 경우 ALP가 4배 이상 상승하게 됩니다.
GGT는 신장, 담관, 이자, 쓸개, 심장 뇌, 비장에 존재합니다. 아미노산과 글루타티온에서 나온 시스테인-글리신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것이 GGT입니다.
빌리루빈은 직접 빌리루빈, 간접 빌리루빈이 있습니다. 간으로 들어가기 전 빌리루빈은 비포합형으로 간접 빌리루빈이며 지용성입니다. 간에서 나오는 빌리루빈은 포합형으로 직접 빌리루빈이며 수용성입니다.
급성 간염일 경우 총빌리루빈이 높게 나타나며, 간염, 담도폐쇄, 간경화증이 있을 시 간접 빌리루빈과 직접 빌리루빈이 높게 나타납니다. 간접 빌리루빈만 높으면 용혈성 황달, 직접 빌리루빈만 높을 때는 만성 간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간접 빌리루빈은 알부민과 강하게 결합하므로 소변으로 배출이 안되지만 직접 빌리루빈은 간에 문제가 생기면 소변에서 검출되어 소변 색이 짙어지게 됩니다.
'약물 및 질환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집 영양제 털이 30대 영양제 추천 2편 (0) | 2021.05.13 |
---|---|
우리 집 영양제 털이 영양제 뭘 먹어야 하나 1편 (0) | 2021.05.12 |
B형 간염 바이러스 이해 2편 (0) | 2021.05.10 |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이해 1편 (0) | 2021.05.10 |
간 영양제 살펴보기 (0) | 2021.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