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물 및 질환 탐구

간 영양제 살펴보기

by 달달별빛밤 2021. 5. 10.
728x90
반응형

간 영양제 살펴보기

지방간에 도움이 되는 영양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베타인: 비알콜성 지방간의 경우 체내 호모시스테인이 증가하게 되는데 베타인을 섭취하면 호모시스테인을 감소시키는 걸 도와줍니다.  베타인을 공급해주면 VLDL 분비가 증가해 간의 중성지방을 낮춰주게 됩니다.

2) 분지아미노산: 루신, 이소루신, 발린 등의 분지 아미노산은 간질환이 생기면 감소되는 아미노산입니다. 이럴 때 분지아미노산을 공급해주면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하여 지방간염으로의 진행을 막아주게 됩니다. 지방간의 중성지방을 낮추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3) 오메가 3: 베타 산화를 촉진하여 지방의 분해를 촉진합니다.

4) 카르니틴: 카르니틴은 Acyl 기를 미토콘드리아 내로 운반시켜 주는 작용을 합니다. 이를 통해 지방을 에너지로 사용하도록 합니다. LDL을 감소시키는데도 도움을 주고 인슐린 민감성을 개선시키기도 합니다. 나이가 들면 카르니틴 합성 능력이 떨어져 지방이 분해되지 못하고 축적되기 쉽습니다.

카르니틴은 주로 엘칸, 가네진, 고덱스 등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밖에도 간 기능에 도움을 주는 영양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실리마린: 항산화제로 글루타티온을 증가시키는 역할, 간세포막을 안정화시켜 간독성 물질이 세포 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 간세포 재생하는 역할 등을 합니다.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기도 해서 당뇨환자에게도 도움이 됩니다.

Stellate cell이 간을 섬유화 시키는 것을 막아주기도 합니다.

 

2) 아르기닌: 알코올을 해독하는 과정에 도움을 주는데요, 그 밖에도 많은 작용을 합니다.

UREA CYCLE에서 암모니아 해독에 도움을 주고, 생식기로 혈류 순환을 원활하게 해서 불임 시 남성, 여성에게 모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아르기닌은 NO 생성에 반드시 필요한데, NO의 공급은 관상동맥, 말초혈관에 산소를 공급해주게 됩니다.

아르기닌은 소마토스타틴 분비를 억제해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는 역할도 있습니다. (성장 호르몬 과다 시 음성 피드백 작용으로 소마토스타틴이 분비되어 IGF 분비를 감소시키게 됩니다)

 

3) 우루사: 광고를 통해 피로는 간 때문이고 여기엔 우루사를 먹어야 한다는 인식이 많이 있는데요. 우루사가 실제로 대체 무엇인지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우루사를 이해하려면 담즙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요. 담즙은 지방을 소화시키는데 반드시 필요한 소화액으로 노폐물을 배출하는 통로이기도 합니다. 담즙은 콜레스테롤, 레시틴, 담즙 산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세 가지의 비율적 균형이 무너졌을 때 담석이 생기곤 합니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쓸개에 저장되어 있다가 담관으로 분비되게 되는데 분비된 담즙은 십이지장 소장, 회장을 거치면서 박테리아에 의해 OH기가 빠져나가게 됩니다. OH가 적을수록 지용성을 띄게 되고 독성이 강해지게 됩니다. 회장을 지나 간문맥을 통해 다시 간으로 들어온 담즙은 해독, 포합 과정을 거쳐 친수성이 가장 강한 상태가 됩니다.

담즙의 여러 가지 형태 중 우루사의 성분 UDCA는 친수성이 강한 담즙산으로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비교적 안전한 편이나 가끔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우루사(UDCA)는 간세포 내 소수성 담즙산의 비율을 낮춰 간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과포화된 담즙을 불포화 담즙으로 변화시켜 콜레스테롤을 운반할 수 있는 능력을 증가시키기도 합니다. 아무래도 담즙 성분 자체를 넣어주는 것이니 담즙 분비의 개선에도 도움을 주게 됩니다.  

 

4) 시스테인: 시스테인은 불안정한 물질이기 때문에 체내에 들어가면 쉽게 cystine으로 전환됩니다. 이 두 가지는 황을 함유한 아미노산으로 피부와 해독 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시스테인은 케라틴 단백질에 존재하는 성분으로 손발톱, 피부, 머리카락에 중요합니다. 시스테인은 글루타티온의 전구체이기도 해서 해독 과정에서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단, 당뇨가 있는 사람은 시스테인 복용 시 인슐린 불활성화를 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