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Scabies mite) 진드기 약물
옴 진드기가 요즘도 있나 생각하실 수 있지만 간혹 옴 진드기 때문에 처방이 나오곤 합니다.
옴 진드기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질환입니다. 암컷이 피부 표면에서 수컷과 교미를 안 후 피부 각질층 내 굴을 만들어 알을 낳게 됩니다. 옴 진드기 암컷은 평균 40-50개 정도의 알을 놓는데 10-14일 후면 성충이 됩니다.
성충의 경우 피부에서 떨어지면 2-3일 정도 생존이 가능하므로 보통 밀접한 피부 접촉이 있는 경우 전파됩니다.
옴 진드기의 경우 4-6주간의 잠복기를 거친 후 진단이 되기 때문에 초기에는 단순 가려움증으로 생각해 알레르기 질환인 줄 아는 경우가 많습니다. 밤에 특히나 가려움증이 심하고, 주로 손가락 사이, 엉덩이 사이, 겨드랑이, 회음부 등에 병소가 있습니다. 옴 진드기는 밤에 피부의 각질층 내에 굴을 만들고 이때 만들어지는 분비물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가려움증이 생깁니다. 굴이 시작하는 부분에는 인설이 있으며 굴 아래쪽에는 수포 또는 농포가 생깁니다.
감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증상의 유무랑 상관없이 환자의 가족, 접촉자들은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되도록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제로는 주로 린단 로션이나 유락신 연고 등을 사용합니다.
린단 로션은 lindane 10mg (gamma benzene hexachloride)으로 기생충이나 그 알의 바깥 골격을 통해 흡수되어 경련을 유발함으로써 살충 효과가 있습니다. 외용제인데도 13% 정도 전신으로 흡수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단 샤워 후 몸을 잘 말려 건조한 다음 1시간이 지난 후 몸부터 몸 전체에 잘 발라 줍니다. 바르고 나서 8-12시간 후에 완전히 씻어내어 주면 되며 보통은 한 번으로 치료가 되지만 필요시 1주일 후 한번 더 같은 방법으로 적용해주시면 됩니다. 효과는 좋으나 신경 독성 등과 같은 부작용이 있어 위험성이 있는 약물입니다.
유락신 연고는 Crotamiton 100mg 성분의 연고로 역시나 얼굴과 두피를 제외한 부위에 전신 도포해주시면 됩니다. 이때 피부가 충분히 건조된 것을 확인한 후 사용해야 합니다. 필요시 24시간 후에 한번 더 적용하고 마지막 적용한 지 48시간 후에 몸을 씻도록 합니다. (유락신 연고의 사용은 병원 별 지침이 조금 다른 듯합니다. 5일 동안 매일 도포하고 24시간 후에 씻어내라고 하는 곳도 있습니다)
유락신 연고는 항미생물 효과도 지니고 있어 다른 피부 가려움증에도 사용됩니다. 린단 로션이 신경독성이 있기 때문에 유아나 임산부에게 피치 못하게 약을 써야 하는 경우 유락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완치율이 조금 낮은 편입니다.
오메 크린 크림은 permethrin 50mg로 머리 부분을 제외한 몸 전체에 펴서 발라준 후 12-14시간 후에 씻어내주시면 됩니다. 바를 때는 접힘이 있는 손가락 사이, 겨드랑이, 생식기, 엉덩이 사이 부분에 더 신경 써서 발라주셔야 합니다. 대개는 1회만 발라도 치료가 되나 필요시 7-10일 후에 같은 방법으로 적용해주시면 됩니다.
린단에 비해 전신 흡수가 적어 미국과 유럽에서는 1차 옴 치료제로 권고되고 있다고 합니다. 치료율도 98%로 높은 편이라 유아에게도 처방되기도 합니다.
성기 주변이 유독 가려운 경우에는 옴 진드기 중 사면발이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사면발이는 음모에 주로 서식 하지만 겨드랑이 등 신체 다른 부위에서도 발견되곤 합니다. 사면발이는 주로 외부 접촉을 통해 감염이 되곤 합니다. 성관계를 통해서, 침구류, 수건 등을 통해서도 감염이 되기 때문에 진단을 받은 후에는 다른 곳에 전파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침구류는 의류 등은 반드시 삶아서 일광 건조로 관리하도록 해야 합니다. 세탁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플라스틱 백 안에 의복이나 침구류를 넣은 뒤 7일간 보관해두시면 됩니다.
(옴 진드기가 기생하던 몸에서 떨어져 나와 3일 정도 생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위의 약물로 치료를 하고 옴 진드기를 사멸시킨 후에도 가려운 증상은 며칠에서 몇 주간 지속될 수도 있으므로 필요시에는 알레르기 약을 처방받아 복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물 및 질환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과 알코올 (0) | 2021.05.09 |
---|---|
와파린(warfarin) 음식 약물 상호작용 복습 (0) | 2021.05.07 |
과민성 방광 약물 (0) | 2021.05.06 |
스테로이드 약물 바로 알기 부작용 3편 (0) | 2021.05.05 |
스테로이드 약물 바로 알기 형태별 특징 부작용 2편 (0) | 2021.05.05 |
댓글